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

안구건조증 (건성안) (Dry Eye Syndrome) 안구건조증은 눈의 불편감과 시력장애를 일으키고 눈물막을 불안정하게 하여 안구표면에 손상을 일으킬 수 있는 눈물과 안구 표면의 다인성질환으로 눈물막의 오스몰농도 증가와 안구표면의 염증을 동반하는 질환을 말합니다. 원인은 크게 눈물생성부족과 빠른 눈물막의 증발로 나눌 수 있습니다. 눈물막 눈물막은 눈물샘, 덧눈물샘, 마이봄샘, 술잔세포로 부터 분비가 되고 전체가 7um 두께정도로 점액층, 수성층, 지방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과거에는 안쪽부터 점액층, 수성층, 지방층으로 분류되 있다고 생각되었으나 최근에는 연속적으로 이루어져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점액층은 수성층을 붙잡아주는 역할을 하여 증발을 막고 지방층은 수성층의 직접적인 공기접촉을 차단하여 눈물증발을 막는 역할을 하여 눈물막이 오래 유지되는데 중요한 .. 더보기
알레르기결막염 (Allergic conjunctivitis) 알레르기결막염은 계절/통년 알레르기결막염이 가장 흔하지만 이외에도 봄철각결막염, 아토피각결막염, 거대유두결막염, 접촉피부결막염과 같은 질환도 알레르기 반응에 의해 발생합니다. 알레르기반응은 면역체계의 과민반응으로 이전에 감작(면역체계에 감지)되어 있던 알레르기 항원에 노출되면 면역체계가 이에대해 과민하게 반응하여 면역물질이나 면역세포등을 많이 분비하여 발생하는 염증반응입니다. 계절/통년 알레르기결막염 (Seasonal/Perennial allergic conjunctivitis) 1형 과민반응으로 발생하며 면역글로불린E, 비만세포가 발생기전에 중요하게 작용합니다. 계절알레르기결막염은 눈알레르기의 가장흔한 형태입니다. 원인은 다양한 공기매개 알레르기항원으로 꽃가루가 가장흔합니다. 봄엔 나무나 꽃가루, 늦은.. 더보기
클라미디아 결막염 클라미디아 감염성각결막염은 전 세계적으로 감염성 실명의 가장흔한 원인으로 클라미디아는 성병의 원인균중 하나이며 세포내편성세균으로 세균과 바이러스의 특징을 공유하고 있고 기본소체(불환성, 세포밖)와 망상체(활성, 세포내) 2가지 형태로 존재합니다. 환경에 의한 자극에 저항력이 있는 기본소체로 밖에서 존재하다가 감염을 일으켜 세포내로 들어가면 망상체로 변하여 이분열을 통해 증식합니다. 클라미디아 트라코마티스 균은 (A~K형)이 존재하는데 A,B,C는 트라코마를 유발하고 D~K는 신생아봉입체결막염을 유발합니다. 클라미디아결막염은 크게 트라코마, 신생아봉입체결막염, 성인봉입체결막염의 형태가 있습니다. 트라코마 우리나라에는 거의 없지만 덥고 먼지많거나 낙후, 비위생적이거나 영양결핍된 지역에 많으며 세계적으로 예방.. 더보기
세균결막염 (Bacterial conjunctivitis) 세균결막염은 발생시기 및 지속기간에 따라 과급성세균결막염, 급성세균결막염, 만성세균결막염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발생 위험인자는 안구건조증, 안구돌출, 눈깜빡임장애, 눈꺼풀뒤당김, 비타민A결핍, 외상, 수술, 전신감염 등이 있으며 눈꺼풀, 손으로 매개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세균결막염은 바이러스결막염과 다르게 이물감이 적고 전신증상(호흡기증상 등)이 대개 없으며 삼출액이 수성이고 여포결막염이 주를 이루는 바이러스와는 달리 삼출액이 점액화농성으로 누런빛을 띄고 유두비대가 더 많으며 표층각막침윤되는 경우가 바이러스결막염보다 적습니다. 과급성세균결막염 감염으로부터 24시간이내에 증상이 발생하는 시력을 위협하는 심각한 결막염으로 빠르게 진행하여 천공까지 일어나기 때문에 빠른 진단과 치료가 중요합니다. 대표적인 .. 더보기
바이러스결막염 (Viral conjunctivitis) 일반적으로 눈병으로 불리는 질환으로 바이러스에 의한 전염력있는 결막염을 바이러스 결막염이라고 합니다. 바이러스 종류에 따라 DNA virus인 아데노바이러스에 의한 유행성각결막염이 가장 흔하고 RNA virus인 피코르나바이러스(엔테로바이러스70, 콕사키바이러스24)에 의해 발생하는 급성출혈성결막염이 대표적입니다. 급성출혈성결막염은 한때 많이 유행했던 아폴로눈병으로 보다 잘 알려져 있습니다. 아데노바이러스 결막염 아데노바이러스 아형에 따라 크게 4가지 형태로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아형 3,4,7형에 의한 인두결막열이 있는데 이는 감기와 동반되는 결막염으로 증상은 인후염, 발열, 림프절염이 있고 결막염이 동반되어 결막충혈, 장액성삼출물(눈꼽), 점상각막염 등의 증상으로 나타납니다. 두번째로는 가장 .. 더보기
인공수정체 (IntraOcular Lens, IOL) 과거 인공수정체가 개발되기 전에는 백내장수술시 백내장이 생긴 수정체를 제거하고 인공수정체를 삽입하지 않아 굴절력때문에 잘 보이지 않았으나 단초점인공수정체가 개발된 이후 백내장수술 후 단초점인공수정체를 삽입하여 시력교정이 가능하였으나 노안교정효과는 없고 단초점이기 때문에 근거리 또는 원거리를 선택하여 한곳만 잘볼수 있게 할 수 있어 근거리를 잘보이는 타겟의 도수로 인공수정체를 넣은경우엔 수술 후 원거리 안경착용을, 원거리를 잘보이는 타겟의 도수로 인공수정체를 삽입한 경우엔 근거리볼때 돋보기안경이 필요했습니다. 또한 백내장 수술은 수정체를 제거하는 수술이기때문에 각막에서 유발되는 난시의 교정효과는 거의 없어 술전에 각막난시가 심했던 환자분들은 술 후 난시가 심하게 남게되고 이 경우 술 후 시력이 좋지않고 퍼.. 더보기
백내장 (Cataract) 백내장은 수정체에 혼탁이 생겨서 시력이 떨어지는 질환으로 일반적으로 노화현상으로 발생하게되며 사람마다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나이가 50대가 넘어가면서 어느정도는 다 백내장이 생깁니다. 백내장의 정도와 개개인의 시력에 대한 예민도에 따라 수술하는 시기의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수정체의 구조를 먼저 살펴보면 양파껍질과 같이 겹겹이 쌓여있는 구조로 되어있고 전낭(ant.capsule), 피질(cortex), 핵(nucleus)(핵은 외핵과 내핵으로 나눌수 있습니다), 후낭(post.capsule)로 구성되어 있고 평균직경은 9mm, 두께는 5mm 정도 밖에 되지 않습니다. 수정체는 섬모체소대라는 끈 같은 구조물이 360도로 둘러싸고 있으며 섬모체소대(zonule)는 섬모체(ciliary body)와 연결되.. 더보기
기생충각막염 (가시아메바각막염) 기생충각막염 중 다른 기생충각막염은 흔하지 않고 가시아메바각막염이 기생충각막염 중 가장 흔하기 때문에 가시아메바각막염에 대해서만 다루려고 합니다. 가시아메바각막염의 경우 진단하기 쉽지 않아 진단이 늦는 경우가 많고 보이는 소견에 비해 통증이 매우 심하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가시아메바의 특징 가시아메바는 사진과 같이 가시가 돋아있어 가시아메바라고 불리며 자연환경에 널리 존재하는 원생 동물로 인체에 뇌염이나 각막염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가시아메바는 활발하게 움직이며 번식하는 영양형(사진A), 휴면중인 포낭형(사진B)으로 존재할 수있으며 생존에 불리한 환경에서는 저항성이 높으 포낭형으로 변해 오랫동안 생존가능합니다. 콘택트렌즈 착용과 밀접한 연관이 있으며 렌즈 세척시 생리식염수, 수돗물 수영장물 등에서 렌즈.. 더보기

반응형